문제
가로,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0인 정사각형 모양의 흰색 도화지가 있다. 이 도화지 위에 가로,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인 정사각형 모양의 검은색 색종이를 색종이의 변과 도화지의 변이 평행하도록 붙인다. 이러한 방식으로 색종이를 한 장 또는 여러 장 붙인 후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예를 들어 흰색 도화지 위에 세 장의 검은색 색종이를 그림과 같은 모양으로 붙였다면 검은색 영역의 넓이는 260이 된다.
입력
첫째 줄에 색종이의 수가 주어진다. 이어 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색종이를 붙인 위치가 주어진다. 색종이를 붙인 위치는 두 개의 자연수로 주어지는데 첫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왼쪽 변과 도화지의 왼쪽 변 사이의 거리이고, 두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아래쪽 변과 도화지의 아래쪽 변 사이의 거리이다. 색종이의 수는 100 이하이며, 색종이가 도화지 밖으로 나가는 경우는 없다
출력
첫째 줄에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
3
3 7
15 7
5 2
예제 출력 1
260
array = [[0 for j in range(100)] for i in range(100)]
n = int(input()) # 색종이의 수
for i in range(n):
x1, y1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for x in range(x1, x1+10):
for y in range(y1, y1+10):
array[x][y] = 1
res = 0
for k in range(100):
res += array[k].count(1)
print(res)
처음에는 길이가 겹치는 부분을 어떻게 하지 해서 전부 다 구해서 빼면 되나 했는데
너무 코드가 길어져서 패스했다.
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한 것을 보니
1. 10X10의 0으로 채운 정사각형을 만든다.
2. 색종이의 수를 받는다.
3. 색종이의 수만큼 수를 받아준다.
4. 그리고 해당하는 칸을 0에서 1로 만들어준다.(array[x][y])
5. 그리고 그 1을 모두 세어준다.
이렇게 하면 겹치는 부분의 넓이를 쉽게 구할 수 있다.
데이터 쌓았으니 다음 번에 써먹을 수 있도록 한번 더 연습해야겠다.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파이썬 - 2720 (1) | 2024.01.29 |
---|---|
백준 파이썬 - 2745 (1) | 2024.01.29 |
백준 파이썬 - 10798 (0) | 2024.01.19 |
백준 파이썬 - 2566 (0) | 2024.01.19 |
백준 파이썬 - 2738 (2) | 2024.0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