변수
- 숫자나 문자열 등 하나의 항목에 이름을 붙인 것
- 1개의 변수는 하나의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음.
x1 = 5 ; x2 = 7
x1+x2
y = x2 - x1
ls() # 현재 저장된 변수 리스트 확인
rm(y) ; ls() # y만 삭제 후 변수 리스트 확인
rm(list = ls()) ; ls() # 저장된 변수 모두 삭제 후 변수 리스트 확인
변수의 종류
numeric(수치형)
character(문자형)
logical(논리형)
complex(복소수형)
저장된 변수의 자료형 확인
mode(x1) # numeric으로 출력
str(x1) # num 5로 출력
is.numeric(x1) # numeric 외에 자료형 다 가능
변수의 자료형 변경
as.numeric(x1) # as.character(x1)
# 연습
num1 = 1; char1 = 'a' ; logi1 = T
is.numeric(num1) # T
is.character(logi1) # F
is.logical(char1) # F
as.numeric(logi1)
as.character(num1)
as.logical(char1) # NA, character의 경우 logical로 바꿀 수 없음.
# 연습 2
as.numeric("Word")
as.numeric("1235")
as.numeric(TRUE)
as.numeric("TRUE")
as.logical(1)
as.logical(0)
as.logical(123)
as.logical("1")
as.logical(4151124)
as.numeric(F)
TRUE는 0 제외 숫자로 표현되면 1
FALSE는 0
특수 자료형
- 수학적으로 정의되지 않거나, 무한대를 나타내거나, 결측치를 나타내는 등 특수한 상황에 사용
- NA: 결측값(자리는 있음)
- NULL: 값이 존재하지 않음. (자리조차 없음.)
- NaN: 수학적인 정의가 불가능한 값 (0/0)
- Inf/ -Inf : 무한대 (3/0)
예시
x1 = c(1,2,NA, 4,5)
x2 = c(1,2,NULL, 4, 5)
is.na(x1)
length(x1)
is.na(x2)
length(x2)
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x1은 자리가 포함되어있고, x2는 그렇지 않다.
정리
temp_num = 101
temp_chr = "this is an example"
temp_logi = F
temp_cplx = 1i
is.numeric(temp_num)
is.character(temp_chr)
is.logical(temp_logi)
is.complex(temp_cplx)
as.numeric(temp_logi)
'프로그래밍 > R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 프로그래밍 - 데이터 구조 (array, list, data.frame) (1) | 2023.10.22 |
---|---|
R 프로그래밍 - 데이터 구조 (vector, matrix, factor) (0) | 2023.10.22 |
R 프로그래밍 - data merge (1) | 2023.10.18 |
R 프로그래밍 - import external dataset, 저장하기 (0) | 2023.10.17 |
R 프로그래밍 - dataset (0) | 2023.10.16 |